23개월 아기의 약 복용 방법, 계속 토하는 증상을 보인다면?

아기가 현재 23개월인데 감기에 걸려서 콧물 시럽, 가루 약, 기침 시럽, 해열 시럽을 처방받았어요. 이런 많은 약들을 함께 먹어도 되는지, 또한 약을 먹는 시간 간격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현재는 6시간 간격으로 먹이고 있는데요. 아기가 너무 토해내서 빈 속에 약을 먼저 먹이고 밥을 먹이는데, 꼭 식후에 먹여야 할까요? 궁금합니다.

답변 드립니다.

애기에게 소아과에서 처방 받은 약이라니, 걱정되겠죠. 약 이름은 정확히 모르지만, 대체로 가루약을 포함한 4가지 정도일 거라고 생각해요. 성인이 감기에 걸렸을 때 처방 받는 약도 5~6가지 정도라고 하니까, 그 정도면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 같아요. 아이의 몸무게와 나이에 맞춰서 용량이 조절되었을 거예요.

만약 가루약에 해열제가 들어가 있다면, 조제 약국에서 확인하시고, 없다면 4가지 약을 함께 사용하시면 될 거에요. 만약 고열이 계속되면 가루약 복용 후 1시간이 지났더라도 해열제 시럽을 먹이시는 것이 좋아요.

약은 꼭 식후에 먹일 필요는 없지만, 만약 위장이 민감하다면 식후에 먹이는 것이 좋아요. 아기가 약 때문에 토하는 경우에는 식후에 먹이면 음식물이 위장을 덜 자극해주어 토하기 쉽게 되지 않아요. 그러나 계속해서 토한다면 소아과 진료를 받아보시는 게 좋겠어요. 걱정 마시고 약을 제때에 먹여 주세요.

계속 토하는 증상을 보인다면?

  • 약물 부작용 혹은 알레르기: 처방 받은 약물에 대한 부작용이나 알레르기 반응이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처음에는 알 수 없는 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의사가 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
  • 감염 또는 병원체 감염: 아이가 감기 등의 감염에 걸렸을 경우, 병원체에 의한 위장 문제가 토현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의사가 진단을 내리고 적절한 치료를 제시해야 합니다.
  • 소화기계 문제: 위장이나 소장에 이상이 생겼을 경우에도 토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소아과 전문의는 아이의 소화기계 상태를 정확히 평가할 수 있습니다.
  • 기타 심각한 질병: 만약 토가 지속되고 다른 증상이 함께 나타난다면, 심각한 질병의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의사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게시됨

카테고리

작성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