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hd 약물치료 중 치과 치료 마취제 두근거리며 호흡이 가빠짐

저는 ADHD가 있어서 약물치료를 2달 동안 받고 있습니다. 그러던 중 치과 선생님께서 작은 충치가 있다고 하셔서 충치를 치료하기로 했습니다. 마취제를 넣는 순간 갑자기 심장이 엄청 두근거렸습니다. 정말 말도 못할 만큼 두근거리며 호흡이 가빠졌습니다.

그러다가 팔과 다리가 부들거리기 시작하며 손쪽에 마비 증상이 갑자기 나타났습니다. 치과 의사 선생님은 15분 정도 동안 진정시키고, 빠르게 충치를 거의 완료했을 때 갑자기 심장이 또 뛰면서 팔다리가 저려오고 손에 마비 증상이 다시 왔습니다.

치과 선생님이 대학병원으로 가라고 하셔서 대학병원에서의 진료 결과, 아무 이상이 없어서 ADHD 약을 먹어도 된다고 했습니다. 잠깐 긴장한 거라고 하더군요. 병원에서 진정되고 집에 돌아와서 다음 날에는 ADHD 약을 먹지 않았습니다. 주말이라 집에 있었죠.

그런데 저녁이 되자 엄마께서 화를 내셨습니다. 왜 약을 안먹었냐고 말이지요 그리고 서로 말투가 거칠어지면서 말다툼이 시작되었습니다. 갑자기 심장이 두근거리며 어제와 똑같은 증상이 나타났습니다. 약 2시간 동안 고통을 겪다가 해소되었습니다. 제가 지금 이상한 상태일까요??

답변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일단, 여러분이 현재 앓고 계신 병과 그 병을 치료하기 위해 복용 중인 약물에 대해 스스로 잘 알고 계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러분은 아주 어린 소아가 아니라 고등학생으로서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본인의 질병을 잘 이해하고 치료에 열심히 협력하며 주의해야 할 점들을 잘 알고 노력한다면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는 간단히 정신적인 장애가 아니라, 과잉행동성 충동과 부주의성 증상들로 사회적, 사교적, 작업 능력에서 어려움을 겪는 질환이며, 심리적, 교육적, 사회적인 전반적인 치료에는 약물 치료가 포함됩니다. 따라서 꾸준한 치료를 통해 회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약물 자체로 인해 심박수 증가, 빈맥, 부정맥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긴장과 압박으로 인해 중추신경계나 교감신경계의 흥분으로 인해도 해당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치과 치료 중 주사에 대한 심리적인 긴장으로 심박수 증가와 근육 경련, 마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약물이나 신체적인 문제 때문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걱정하실 필요 없으며, 다음 치과치료 때 해당 상황이 두려우시고 고통스러우시다면 의료진과 상담하여 해결책을 모색해보시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게시됨

카테고리

작성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