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방전에 조제된 약 유통기한 및 오래전에 조제된 약가루가 입안으로 들어갔을때: 냄새 및 입 화끈거림

오래전에 처방받은 알약이 있는데요 이게 가루로 변한 것도 있고 아직 알약으로 된 것도 있었는데 자세히 들여다보고 닦아내니 날아가서 제 입으로 들어온거 같습니다. 이거 문질러도 냄새가 사라지지 않고 여전히 입안에 화끈거림도 느껴지는거 같습니다. 이거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처방전에 따라 조제된 약은 일반적으로 유통기한이 1-2년 이상으로 설정됩니다. 그러나 조제 후에는 약물의 효과와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투약이 개시된 후 2개월 이상 중단되지 않는 것이 권장됩니다. 만약 추후에 해당 약물을 복용하려면 조제 시점으로부터 2개월 이내로 중단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약물에 노출되거나 분진이 입에 들어갔다면, 해당 약물의 성분과 관련된 중요한 정보를 확인해야 합니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은 조언을 드릴 수 있습니다

  • 물로 입을 헹구기: 먼저 깨끗한 물로 입을 헹군 후 가능한 한 많이 물을 마시세요. 눈에 들어갔다면 눈을 깨끗이 헹궈야 합니다.
  • 즉시 의료 상담: 약물이나 가루가 입안으로 들어간 경우, 즉시 의료 전문가에게 상담해야 합니다. 독성 물질일 수도 있으므로 의사에게 즉시 알립니다.
  • 약물 특성 확인: 어떤 약물인지 정확히 확인하세요. 처방전이나 약통에 약물 정보가 기재되어 있을 것입니다.
  • 증상 모니터링: 증상이 심하거나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의료 기관을 찾아가세요. 기침, 어지러움, 구토, 화끈거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더 정확한 조언을 위해서는 해당 약물의 성분이나 특징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며, 어떠한 증상이 나타나는지에 대한 자세한 상황 설명이 필요합니다. 의료 상황에 대한 판단은 전문가와의 상담이 필요하므로, 어떠한 약물이었는지, 어떤 증상이 나타나는지를 전문가에게 상세히 설명하고 조언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게시됨

카테고리

작성자